본문 바로가기
생활

보청기 국가보조금지원 금액 및 대상, 신청방법

by 고랑이 2021. 6. 13.

나이가 들면서 혹은 소음에 장시간 노출되어 청력이 손상되곤 합니다. 이외에 다양한 이유로 인해 청력 상실을 경험하여 보청기 구매에 대해 알아보고 계셨을 것이라 생각듭니다.

 

하지만 보청기의 가격은 부담이 있기에 국가 복지 차원에서 보청기 구매시 보조금을 국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보청기 국가보조금 신청방법 및 금액, 대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보청기 이미지

 

 

보청기 보조금 지원금액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 차상위 계층 및
기초생활 수급자
15세 미만 아동
(한쪽 / 양쪽 청력 손실)
보청기 구입 시 999,000원 1,110,000원 1,111,000원 / 2,220,000원
자기 부담금 보청기 구입시 111,000원
추후 관리비 5,000원씩 4회
없음 없음
추가 부담금 국가 보조금의 10% 없음 없음
추후 적합 관리비용 총 180,000원
(매년 45,000원씩 4회)
총 200,000원
(매년 50,000씩 최대 4회)
보청기 1대당
총 200,000원
(매년 50,000씩 최대 4회)
최대 지원금 1,179,000원 1,310,000원 2,620,000원
(보청기가 2대일 경우)

 

 

보청기 국가보조금 신청 전 필수 확인사항 4가지

1. 인당 최대 1대의 보청기만 지원 (단 15세 미만의 경우 예외로, 보청기 2대 비용 보조금을 신청 가능)

2. 복지카드를 소지한 청각장애인만 지원 가능

3. 5년에 1회만 보청기 국가 보조금 지원 신청 가능

4. 해당 보청기 기종이 보조금 지원이 가능한지 확인

 

 

보청기 국가보조금 신청 대상

나이와 상관없이 '청각장애' 등록이 되었다면 국가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청각장애 등급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청각장애 등급 판정 방법 7단계

1. 주민센터 방문 및 청각장애 등록 신청 (청각장애 진단 의뢰서 발급)

2. 청력검사기가 있는 의료기관 혹은 이비인후과에 방문

3. 해당 시설에서 2~7일 간격으로 3번의 청력 검사, 1번의 ABR 검사 실시

4. 전문의에게서 장애진단서, 진료기록지, 청력검사 결과지 발급 받기

5. (4)에서의 서류 및 본인 신분증 사본, 증명사진 2매를 주민센터에 제출

6. 접수 및 승인 후 청각장애 등급 판정 (최대 2개월)

7. 청각장애 증명서 발급 및 복지 카드 발급 (30일 내외)

 

 

보청기 보조금 신청방법 4단계

의사 이미지증명 이미지돈 이미지

1. 복지카드 혹은 청각장애 증명서를 지참하여 이비인후과에 방문해 '보장구 처방전(보청기 처방전)'을 발급 받습니다. (차상위 계층 혹은 기초생활 수급자의 경우 주민센터 방문 후 '보장구 급여 적격 통지서'를 발급)

2.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보청기를 구매했을 때만 국가 보조금 지원이 되기에, 해당 보청기의 지원 여부를 확인하신 후 구매합니다. 보청기 구입 후에는 '보청기 구입 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3. 보장구 처방전, 보청기 구입 확인서를 챙겨 병원 방문 및 '보장구 검수확인서'를 발급 받습니다.

4. 보장구 처방전, 보청기 구입 확인서, 보장구 검수확인서, 복지카드를 지참하여 국민 건강 보험 공단에 방문하시면, 이후 제품 구입비 및 초기 적합 관리비를 환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리 

보청기의 가격대는 어느 정도 부담이 될 수 있기에 국가 차원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줍니다. 하지만 보청기 보조금 국가 지원의 자격으로는 '청력 장애'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위 방법에 따라 지원 신청을 하셔서 보조금을 지원 받도록 합시다.

 

 

728x90

댓글